7.5 크기가 표시된 정수 자료형 사용하기
C 언어는 컴퓨터 역사상 초기에 개발된 언어이기 때문에 char, short, long, long long 등 지금 보기에는 다소 모호한 표기법이 많습니다. 처음에는 이름 그대로 역할을 수행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16비트, 32비트, 64비트 CPU가 나오고, 운영체제가 발전하면서 정수 자료형의 크기도 그때 그때 달라졌습니다. 그래서 정수 자료형 이름은 많은 혼란을 가져왔고 C99 표준부터는 stdint.h 헤더 파일이 추가되었습니다.
다음은 stdint.h 헤더 파일을 사용하여 크기가 표시된 정수 자료형으로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입니다.
integer_stdint.c
#include <stdio.h> #include <stdint.h> // 크기별로 정수 자료형이 정의된 헤더 파일 int main() { int8_t num1 = -128; // 8비트(1바이트) 크기의 부호 있는 정수형 변수 선언 int16_t num2 = 32767; // 16비트(2바이트) 크기의 부호 있는 정수형 변수 선언 int32_t num3 = 2147483647; // 32비트(4바이트) 크기의 부호 있는 정수형 변수 선언 int64_t num4 = 9223372036854775807; // 64비트(8바이트) 크기의 부호 있는 정수형 변수 선언 // int8_t, int16_t, int32_t는 %d로 출력하고 int64_t는 %lld로 출력 printf("%d %d %d %lld\n", num1, num2, num3, num4); // -128 32767 2147483647 9223372036854775807 uint8_t num5 = 255; // 8비트(1바이트) 크기의 부호 없는 정수형 변수 선언 uint16_t num6 = 65535; // 16비트(2바이트) 크기의 부호 없는 정수형 변수 선언 uint32_t num7 = 4294967295; // 32비트(4바이트) 크기의 부호 없는 정수형 변수 선언 uint64_t num8 = 18446744073709551615; // 64비트(8바이트) 크기의 부호 없는 정수형 변수 선언 // uint8_t, uint16_t, uint32_t는 %u로 출력하고 uint64_t는 %llu로 출력 printf("%u %u %u %llu\n", num5, num6, num7, num8); // 255 65535 4294967295 18446744073709551615 return 0; }
실행 결과
-128 32767 2147483647 9223372036854775807 255 65535 4294967295 18446744073709551615
int8_t, int16_t, int32_t, int64_t처럼 자료형 이름에 비트 단위로 크기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부호 없는 정수 자료형은 앞에 u를 붙여서 uint8_t, uint16_t, uint32_t, uint64_t입니다. 이런 자료형은 크기를 정확하게 표현해야 하는 파일 압축 및 암호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을 할 때 특히 유용하며, 일반적인 프로그래밍을 할 때도 처음부터 stdint.h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stdint의 최소, 최댓값은 stdint.h 헤더 파일 안에 정의되어 있으므로 limits.h 헤더 파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자료형과 마찬가지로 최소, 최댓값도 비트 단위로 크기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부호 있는 정수(signed) 최솟값: INT8_MIN, INT16_MIN, INT32_MIN, INT64_MIN
- 부호 있는 정수 최댓값: INT8_MAX, INT16_MAX, INT32_MAX, INT64_MAX
- 부호 없는 정수(unsigned) 최솟값: 0
- 부호 없는 정수 최댓값: UINT8_MAX, UINT16_MAX, UINT32_MAX, UINT64_MA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