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 딕셔너리의 키에 접근하고 값 할당하기

딕셔너리의 키에 접근할 때는 딕셔너리 뒤에 [ ](대괄호)를 사용하며 [ ] 안에 키를 지정해주면 됩니다.

  • 딕셔너리[키]
>>> lux = {'health': 490, 'mana': 334, 'melee': 550, 'armor': 18.72}
>>> lux['health']
490
>>> lux['armor']
18.72
참고 | 딕셔너리에 키를 지정하지 않으면?

딕셔너리에 키를 지정하지 않은 상태는 해당 딕셔너리 전체를 뜻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딕셔너리 lux를 출력하면 { }를 포함하여 딕셔너리 전체가 출력됩니다.

>>> lux = {'health': 490, 'mana': 334, 'melee': 550, 'armor': 18.72}
>>> lux    # 딕셔너리에 키를 지정하지 않으면 딕셔너리 전체를 뜻함
{'health': 490, 'mana': 334, 'melee': 550, 'armor': 18.72}

12.2.1  딕셔너리의 키에 값 할당하기

이제 딕셔너리의 키에 값을 할당해보겠습니다. 딕셔너리는 [ ]로 키에 접근한 뒤 값을 할당합니다.

  • 딕셔너리[키] = 값
>>> lux = {'health': 490, 'mana': 334, 'melee': 550, 'armor': 18.72}
>>> lux['health'] = 2037    # 키 'health'의 값을 2037로 변경
>>> lux['mana'] = 1184      # 키 'mana'의 값을 1184로 변경
>>> lux
{'health': 2037, 'mana': 1184, 'melee': 550, 'armor': 18.72}

딕셔너리에서 키의 값을 출력할 때와 마찬가지로 [ ]에 키를 지정한 뒤 값을 할당하면 됩니다. 특히 딕셔너리는 없는 키에 값을 할당하면 해당 키가 추가되고 값이 할당됩니다.

>>> lux['mana_regen'] = 3.28    # 키 'mana_regen'을 추가하고 값 3.28 할당
>>> lux
{'health': 2037, 'mana': 1184, 'melee': 550, 'armor': 18.72, 'mana_regen': 3.28}

그럼 없는 키에서 값을 가져오려고 하면 어떻게 될까요?

>>> lux = {'health': 490, 'mana': 334, 'melee': 550, 'armor': 18.72}
>>> lux['attack_speed']    # lux에는 'attack_speed' 키가 없음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pyshell#3>", line 1, in <module>
    lux['attack_speed']
KeyError: 'attack_speed'

딕셔너리는 없는 키에서 값을 가져오려고 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12.2.2  딕셔너리에 키가 있는지 확인하기

딕셔너리에서 키가 있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in 연산자를 사용하면 됩니다.

  • 키 in 딕셔너리
>>> lux = {'health': 490, 'mana': 334, 'melee': 550, 'armor': 18.72}
>>> 'health' in lux
True
>>> 'attack_speed' in lux
False

이처럼 딕셔너리에 특정 키가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가 나옵니다. 딕셔너리 lux에 키 'health'가 있으므로 True, 'attack_speed'가 없으므로 False가 나왔습니다.

반대로 in 앞에 not을 붙이면 특정 키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 키 not in 딕셔너리
>>> 'attack_speed' not in lux
True
>>> 'health' not in lux
False

이렇게 not in은 특정 키가 없으면 True, 있으면 False가 나옵니다.

참고 | 해시

딕셔너리는 해시(Hash) 기법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보통 딕셔너리와 같은 키-값 형태의 자료형을 해시, 해시 맵, 해시테이블 등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12.2.3  딕셔너리의 키 개수 구하기

딕셔너리를 사용하다 보면 딕셔너리의 키 개수(길이)를 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딕셔너리의 키와 값을 직접 타이핑할 때는 키의 개수를 알기가 쉽습니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함수 등을 사용해서 딕셔너리를 생성하거나 키를 추가하기 때문에 키의 개수가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키의 개수는 len 함수를 사용하여 구합니다(키와 값은 1:1 관계이므로 키의 개수는 곧 값의 개수입니다).

  • len(딕셔너리)
>>> lux = {'health': 490, 'mana': 334, 'melee': 550, 'armor': 18.72}
>>> len(lux)
4
>>> len({'health': 490, 'mana': 334, 'melee': 550, 'armor': 18.72})
4

len(lux)와 같이 len에 딕셔너리 변수를 넣어서 키의 개수를 구해도 되고, len에 딕셔너리를 그대로 넣어도 됩니다.

지금까지 딕셔너리의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딕셔너리를 생성할 때는 { }(중괄호)를 사용하고, 키와 값을 1:1 관계로 저장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특히 딕셔너리는 특정 주제에 대해 연관된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한다는 점도 꼭 기억해두세요. 이 부분이 리스트, 튜플과 딕셔너리의 차이점입니다.